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처기21

정보처리기사 실기_인터페이스 구현 1📚 FTP (File Transfer Protocol) :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DB 링크 : 수신 시스템에서 DB링크를 생성하고 송신 시스템에서 해당 DB링크를 직접 참조하는 연결 방식이다. 소켓 : 서버는 통신을 위한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 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고 통신하는 방식이다. 복습 1.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 기법이다. 2. (브레인 스토밍)은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3. (개체 정의서)은 데이터베이스 개념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이다. .. 2022. 3. 28.
정보처리기사 실기_통합구현4📚 예상 문제 1. 연계 모듈 기능 구현 중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을 가능하게 해 주는 솔루션으로 대상 시스템에 비표준 어댑터(Adaptor)를 배포하여 통합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2. EAI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괄호 안에 들어갈 구성요소는? ( 어댑터 ): 다양한 패키지 애플리케이션 및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EAI의 핵심 장치로 데이터 입출력 도구. ( 브로커 ): 시스템 상호 간 데이터가 전송될 때, 데이터 포맷과 코드를 변환하는 솔루션. + 메시지 큐 :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는 다른 응용프로그램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2022. 3. 26.
정보처리기사 실기_통합구현3📚 챕터3.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 연계 모듈 기능 구현 : 개발하고자 하는 응용소프트웨어와 연계 모듈 간의 세부 설계서를 확인하여 일관되고 정형화된 연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EAI (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EAI 는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이다. : EAI 를 사용함으로써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 줄 수 있다. EAI 구성요소 1) EAI 플랫폼 2) 어댑터 3) 브로커 4) 메시지 큐 5) 비즈니스 워크플로우 EAI 구축 유형 1)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 가장 기초적.. 2022. 3. 22.
정보처리기사 실기_통합구현1📚 챕터1. 연계 데이터 구성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중요도가 높지 않습니다. 어떤 기법인지 이해하기. 연계 요구사항 분석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을 참고한다. 연계 요구사항 분석기법 1) 인터뷰 2) 체크리스트 3) 설문지 4) 델파이 기법 :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 기법./ 업무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 5) 브레인 스토밍 :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 문제 1.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2022. 3.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