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처리기사20 정보처리기사 실기_통합구현3📚 챕터3.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 연계 모듈 기능 구현 : 개발하고자 하는 응용소프트웨어와 연계 모듈 간의 세부 설계서를 확인하여 일관되고 정형화된 연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EAI (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EAI 는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이다. : EAI 를 사용함으로써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 줄 수 있다. EAI 구성요소 1) EAI 플랫폼 2) 어댑터 3) 브로커 4) 메시지 큐 5) 비즈니스 워크플로우 EAI 구축 유형 1)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 가장 기초적.. 2022. 3. 22. 정보처리기사 실기_통합구현2📚 챕터 2. 연계 메커니즘 구성 개념 연계 메커니즘 이란? : 응용 소프트웨어와 연계 대상 모듈 간의 데이터 연계 시 요구사항을 고려한 연계방법과 주기를 설계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연계 방식의 분류 : 연계 방식은 직접 연계 방식과 중간 매개체를 이용한 간접 연계 방식으로 분류한다. 직접 연계 방식 장점: 연계 및 통합 구현이 단순하여 용이함 / 개발 소요 비용및 기간이 짧음 / 중간 매개체가 없으므로 데이터 연계처리 성능이 대체로 좋음 단점: 시스템 간의 결합도가 높아 시스템 변경에 민감/ 암 복호화 처리 불가 / 연계 및 통합 가능한 시스템의 환경이 제한적 간접 연계 방식 장점: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연계 및 통합 가능 단점: 연계 아키텍처 및 메커니즘이 복잡해 성능 저하 요소 존재/ 상대.. 2022. 3. 20. 정보처리기사 실기_데이터 입출력 구현3📚 데이터 베이스(Database) 개념 : 데이터 베이스는 다수의 인원,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자료의 중복성 제거, 무결성 확보, 일관성 유지, 유용성 보장이 중요하다. 데이터 베이스 정의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운영 데이터 ( Operational Data) :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여러 애플리케이션,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특징 : 실시간 접근성 : 쿼리에 대하여 실시간 응답이 가능해야 함. 계속.. 2022. 3. 18. 정보처리기사 실기_데이터 입출력 구현2📚 1. ( 물리 데이터 모델링 )은 논리모델을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에 맞도록 상세화해 가는 과정이다. 2. 다음은 인덱스 적용 기준과 관련된 수식 + 특정 컬럼의 데이터가 테이블에 평균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정도이다. + 인덱스로 적정한 분포도는 10%~15%이다. : 분포도 3. 분포도 가 좋은 컬럼은 단독적으로 생성한다. 자주 조합되어 사용되는 컬럼은 결합 인덱스로 생성한다.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 개념을 간략히 약술하시오. 전체 데이터의 검색 없이 빠르게 조회가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중점으로 작성한다. 5. 파티셔닝 기법 - 연속적인 숫자나 날짜를 기준으로 하는 파티셔닝 기법이다. - 손쉬운 관리 기법을 제공하여 관리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 레인지 파티셔닝 (range : 범위) 2022. 3. 18.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