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46

테두리 (border ) 정리!! | HTML&CSS 시리즈 020 한 줄에 끝내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border 속성으로 한 줄에 다 쓰는 것입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모두 같은 테두리가 생깁니다. 값을 쓰는 순서는 굵기, 스타일(실선, 점선 등), 색입니다. 명확하게 나누기 다른 방법은 border-style, border-color, border-width 속성을 써서 테두리의 스타일을 하나씩 지정해주는 것 다채로운 테두리 둥근 모소리 설정 2021. 7. 24.
overflow~ | HTML&CSS 시리즈 019 width, height, max-width, max-height 등을 설정하다 보면 내용물이 들어갈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오버플로우를 사용해줍니다. scroll과 거의 똑같은데, 한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scroll은 항상 스크롤바를 보여주고, auto는 내용물이 넘쳐날 때만 스크롤바를 보여줍니다. 2021. 7. 24.
박스 모델(padding, margin) | HTML&CSS 시리즈 018 위 사진을 보면 padding 이 뭔지, margin 이 뭔지 한눈에 이해 할 수 있다. Padding 은 내용과 테두리 사이의 '여유 공간' Margin은 요소 주위의 여백입니다. 즉, 테두리 밖의 공간 이렇게 top , bottom , left , right 로 따로 따로 힘들게 작성할 필요없이 그냥 시계 방향으로 한번에 작성할 수 도 있다. (위, 오른쪽, 아래, 왼쪽 순..) 만약 그냥 padding : 50px 만 쓴다면 , 위아래 오른쪽 왼쪽 다 50px 의 간격이 된다. 만약 padding:50px 30px 쓴다면, 위아래는 50px 간격이 되고, 오른쪽 왼쪽 간격은 30px 이 된다. margin 의 경우도 padding 과 동일하다. 이렇게 하나씩 써도 되지만 한줄로 적을 수도 있다. 만.. 2021. 7. 24.
텍스트 크기 와 폰트 설정 방법!~ | HTML&CSS 시리즈17 텍스트 크기를 나누는 방법 -. 절대적: px (픽셀), pt (포인트) -. 상대적: em , % (부모요소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냄) em 은 뭘까? -> %와 비슷?하다. * 1.5em = 150% 1 em = 100% 으로 나타냄. 폰트 설정 방법!! 위 사진을 설명하자면,, *css부분 설명 1. p태그의 부분을 스타일 하기 위해 p{} 2. font-family 를 이용하여 폰트를 설정한다. 3. font-family 속성의 값은 사진에서는 3가지를 입력하였다. - 왜 3가지 입력했지?? : 3가지 폰트 모두 사용하고자하여 3가지를 쓴것이 아니라 1번째 times new roman 체가 컴퓨터내에 없다면 다음 궁서체 폰트를 그것도 없다면 다음 serif 폰트를.. 이렇게 우선순위라고 볼 .. 2021. 7.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