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JavaScript 시리즈☕45

🚀object(객체) 🚀 | JavaScript 시리즈 009 player 객체를 만들려면 const player = {} 2021. 8. 3.
🚀array (배열)🚀 | JavaScript 시리즈 008 데이터를 정리해주는 array (배열) 만약 이 코드를 리스트로 그룹화 시키고 싶다면 이렇게 배열을 이용하여 바꾸어 줄 수 있다. 배열은 [ ] 대괄호를 이용하면 된다. array(배열)의 목적은 , 하나의 variable 안에 데이터의 list 를 가지는 것이다. 만약 배열이 없다면 1번째 사진처럼, 하나씩 계속 변수를 만들고 값을 저장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배열을 사용한다면, 훨씬 편하게 한줄로 코드 작성가능하며, 또한 , 인덱스를 이용하여 값을 추출하거나, push()함수를 이용하여 추가도 할 수 있다.~ (인덱스는 0 1 2.. 이다.) 2021. 8. 2.
🚀const and let 차이점 에대해!!!🚀 | JavaScript 시리즈 007 자바스크립트 변수를 만드는 방법에 2가지 있다. 🚀const 와 let 그렇다면 차이점은 뭘까?🚀 const 는 constant (상수) 라는 것이고, constant 는 값이 바뀔 수 없다는 것. 사진을 보면 let 으로 myBlog 라는 변수를 만들었고 값은 couch coding 이다. 변수 myBlog의 값을 수정해주고 싶다면 , let myBlog = " coding master" 이 아닌! 바로 myBlog 변수를 적고 수정하고 싶은 값을 적어주면 된다. let은 생성할때 적어주는 것이다! 그래서 결과는 아래 사진 처럼 나온다. 만약 let 이 아닌 const 로 변수 myBlog를 만들어 준다면!? 어떻게 될지 알아보자.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에러가 뜬다. => 즉, const 로 vari.. 2021. 8. 2.
🚀 null VS undefined 🚀| JavaScript 시리즈 006 null 과 undefined 가 비슷해서 헷갈릴 때가 있다. 그래서 정리를 해보았다. 자료형에는 숫자 , 문자열, 불린 그리고 null , undefined 가 있다. undefined 를 할당할 일은 잘 없겠지만, null 을 할당하는 일은 종종 있다. 명시적인 의미로 없다는 것을 표현해주기 위해서 null 이나 undefined 를 많이 활용하는 케이스는 아무래도 check 를 하기 위해서일 것 이다. 가령 어떤 함수에서 값을 받았을 때 그 값이 null 인지, undefined 인지 check 를 해서 어떤 동작을 처리하는 것과 같이말이다. 🔥요약🔥 즉, null 은 절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null 은 우리가 variable(변수) 안에 어떤 것이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씀 즉,.. 2021. 8.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