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umputer Science38 4장. 펄스 변조와 원천 부호화🧐 아날로그 펄스 변조 1. 변조 (modulation) -> 신호정보를 전송 매체의 채널 특성에 맞게끔 신호의 세기나 변위 , 주파수 , 위상 등을 적절한 파형 형태(정현파)로 변환하는것 2. 복조(Demodulation) -> 변조된 신호로부터 원래의 정보 신호를 추출해내는 과정 3. 아날로그 변조 : 아날로그 신호에 변조를 하면 아날로그 변조라고 함. - 진폭 변조 (AM:amplitude modulation) - 주파수 변조 (FM: Frequency modulation) - 위상 변조 (AM : Phase modulation) 4. 디지털 변조 : 디지털 신호에 변조를 하면 디지털 변조 - 진폭 편이 변조 (ASK : amplitude shift keying) - 주파수 편이 변조(FSK: Freq.. 2021. 12. 5. 디지털 통신 3장 : 잡음 -. 디지털 신호의 대역폭 정리 3dB 대역폭 : 최고값을 기준으로 3dB 떨어질 때의 주파수로서 전력을 기준으로 하면 최고 전력값의 1/2 이 될때의 주파수 이다. 전압을 기준으로 하면 최고 전압값의 1/루트2 (=0.707) 이 될때의 주파수이다. 영점사이의 대역폭: 전력이나 전압 값이 처음으로 0이 될때의 주파수이다. -. 선형 과 비선형 시스템 * 선형시스템 : 중첩의 원리 만족 -> 각 입력신호를 상수배하여 더한 새로운 입력신호의 출력신호는 각 출력신호를 상수 배하여 더한 값과 같다. * 1차 함수일때만 선형이며, 2차 3차 함수일때는 비선형이다. -. 시불변 시스템 VS 시변 시스템 -> 입력신호의 시간지연이 출력신호에서도 똑같은 시간지연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만약 성립하지 않으면 시변 시스템이.. 2021. 10. 31.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 자료구조 시리즈003 노드 클래스 만들기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노드가 저장하는 데이터 self.next = None # 다음 노드에 대한 레퍼런스 # 데이터 2,3,5,7,11을 담는 노드를 생성 head_node = Node(2) node_1 = Node(3) node_2 = Node(5) node_3 = Node(7) tail_node = Node(11) 2021. 7. 18. 배열 ? | 자료구조 시리즈 002 배열(Array) 무엇일까? 배열은 가장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 이다. # 그래서 매우 중요하다! C 배열 - 크기가 고정돼 있다. ( 크기를 미리 정해서 시작한다.) - 같은 타입의 데이터만 담을 수 있다. - 데이터가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ex) int array[4] 파이썬 리스트 - C 언어 배열과 다르게 연속적일수도 아닐수도 있다. - 같은 타입이 아닌 것도 담을 수 있다. ex) num_list=[1,2,5,7] C 언어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지고 오는법 2021. 7. 18.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