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형상관리시스템14 git branch 변경 ( master -> main) 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레포지토리에 들어가서 > SETTING(설정) > Branches 카테고리 > 사진에 표시해둔 동그라미 클릭 'master' 를 지우고 'main' 으로 입력후 'Rename branch' 클릭 그후, 작업중인 프로젝트 터미널창에다가 아래 명령어 입력해주면 끝. If you have a local clone, you can update it by running the following commands. 아래 명령어를 하나씩 입력해주면 끝! git branch -m master main git fetch origin git branch -u origin/main main git remote set-head origin -a Branch 변경후 git push 실행시 위와 같은 에러 발생시... 2022. 7. 17. 좋은 커밋 메시지 작성법 깃허브를 요즘 코딩 테스트와 몇몇 프로젝트를 업로드하면서 자주 사용하는데 커밋을 작성할때마다 누가 봐도 이해할 수 있는 커밋 작성법이 없을까 생각하다가 찾아보니 '커밋 메시지 작성법' 에 관련 글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핵심 내용만 따로 추려서 정리 해보았다. 앞으로 종종 참고하면서 커밋 메시지 작성하는데 신경을 써야겠다. 제목과 본문을 한 줄 띄워 분리하기 제목은 영문 기준 50자 이내로 제목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제목 끝에 . 금지 제목은 명령조로 Github - 제목(이나 본문)에 이슈 번호 붙이기 본문은 영문 기준 72자마다 줄 바꾸기 본문은 어떻게보다 무엇을, 왜에 맞춰 작성하기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fix : 버그 수정 docs : 문서 수정 style : 코드 formatting, 세.. 2022. 6. 29. Git 시리즈😺 | ep3: repository 만들기 1. git init => 비어있는 레포지토리를 생성 + 즉, ls-al 을 입력하면 .git 이라는 디렉토리(폴더)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이 폴더가 레포지토리 + cd .git => .git 디렉토리 ( 레포지토리) 로 들어가기. + ls -al 을 입력하면, 여러 자식 파일들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레포지토리 :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각 버전이 담기는 저장소. 2021. 9. 12. Git 시리즈😺 | ep2: 레포지토리 , 커밋 1. reposioty (저장소) 프로젝트를 만들기위해서는 프로젝트 디렉토리(폴더)를 만들어주는데, 이때 버전별 프로젝트 모습 , 버전별 변경 사항에 대한 설명을 기록할 수 있는 곳(폴더를) 레포지토리라고 한다. -> 프로젝트 디렉토리와 레포지토리는 비슷하지만, 엄연히 따지자면 git 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디렉토리안에 .git 디렉토리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레포지토리라고 한다. 2. 커밋 (commit) 지금 모습이 딱 하나의 버전으로 남겨지면 좋겠다! 생각 프로젝트 디렉토리 특정 모습을 하나의 버전으로 남기는 행위/동작/결과물 을 커밋한다 라고 한다. 커밋(commit) 이 저장되는곳은 레포지토리(repository) 이다. 2021. 9. 12.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