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형상관리시스템/git 시리즈😺12 Git 시리즈😺 | ep3: repository 만들기 1. git init => 비어있는 레포지토리를 생성 + 즉, ls-al 을 입력하면 .git 이라는 디렉토리(폴더)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이 폴더가 레포지토리 + cd .git => .git 디렉토리 ( 레포지토리) 로 들어가기. + ls -al 을 입력하면, 여러 자식 파일들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레포지토리 :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각 버전이 담기는 저장소. 2021. 9. 12. Git 시리즈😺 | ep2: 레포지토리 , 커밋 1. reposioty (저장소) 프로젝트를 만들기위해서는 프로젝트 디렉토리(폴더)를 만들어주는데, 이때 버전별 프로젝트 모습 , 버전별 변경 사항에 대한 설명을 기록할 수 있는 곳(폴더를) 레포지토리라고 한다. -> 프로젝트 디렉토리와 레포지토리는 비슷하지만, 엄연히 따지자면 git 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디렉토리안에 .git 디렉토리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레포지토리라고 한다. 2. 커밋 (commit) 지금 모습이 딱 하나의 버전으로 남겨지면 좋겠다! 생각 프로젝트 디렉토리 특정 모습을 하나의 버전으로 남기는 행위/동작/결과물 을 커밋한다 라고 한다. 커밋(commit) 이 저장되는곳은 레포지토리(repository) 이다. 2021. 9. 12. Git 시리즈😺 | ep1: git이란? , github이란? Git : 코드 버전 관리 , 동시 협업 프로그램이다. by. 리누스 토발즈 (Linux 운영 체제 만든사람) (*global information tracker의 약자 , goddamn idiotic truckload of sh*t 이라는 욕설의 약자" ,멍청하고 단순한(이런 특성을 지닌 아무 단어로 해석되어도 좋다는 의미) ) Git 을 사용하는 이유 : 1. 파일을 게속 수정 수정 하다 보면 파일의 어떤 내용이 수정 된 건지, 2. 어떤 파일을 봐야 본인이 원하는(찾고자 하는) 내용을 볼 수 있는지 몰라서, 다 열어봐야 됨. =>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해 버전관리 프로그램인 git 을 사용한다. 버전관리를 사용하면 1. 지난 과정 확인 가능 2. 만약 잘못만들었을 경우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2021. 9. 12. git 저장소 만들고 커밋(commit) 하기 잘 정리되어 있는 블로그이니 참고하기!! git 저장소 만들고 커밋(commit) 하기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는 git을 설치 하는 방법을 적었습니다. [개발/개발도구] - [git 설치] github 처음 사용기 git을 설치하 였으니 이번에는 저장소를 만들고 커밋(commit)하는 방법에 대해 포 lee-mandu.tistory.com https://webdevtechblog.com/%EA%B9%83%ED%97%88%EB%B8%8C-%EC%82%AC%EC%9A%A9%EB%B0%A9%EB%B2%95-github-tutorials-4a63f31bb6a5 깃허브 사용방법(GitHub Tutorials) 서론 webdevtechblog.com https://zoeful-log.tistory.com/m/.. 2021. 9. 11.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