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444 인스턴스 메소드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시리즈 003 class User: def say_hello(some_user): # 인사메세지 출력 메소드 print("안녕하세요! 저는 {}입니다!".format(some_user.name)) # user1,user2,user3 인스턴스 만들기 user1 = User() user2 = User() user3 = User() #user1 의 속성 user1.name = "홍길동" user1.email = "A@zzz.kr" user1.password = "12345" #user2 의 속성 user2.name = "아무개" user2.email = "B@zzz.kr" user2.password = "1q2w3e" #user3 의 속성 user3.name = "카우치포테이토" user3.email = "C@zzz.kr".. 2021. 7. 21. 클래스? 인스턴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시리즈 002 이전 시리즈에서 객체는 속성과 행동으로 이루어져있다. 라고 했습니다. 객체 지향적으로 설계 하는것을 모델링이라고 부른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모델링의 예시를 간단하게 그림으로 설명하겠습니다. ex) 인스타그램 클래스와 객체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설명하였다. 붕어빵을 예시로 들어보았다. - 클래스로 객체를 만든다. - 클래스로 인스턴스를 만든다. (객체 == 인스턴스) 클래스 이름 첫 글자는 항상대문자! ex) class User: 2021. 7. 21. 객체란? 무엇인가?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시리즈 001 객체 프로그래밍의 객체란 뭐야? 객체는 속성과 행동으로 이루어진 존재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설명하면 이해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ex) 인스타그램 속성: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아이디, 친구 목록..... 행동: 팔로잉... 그렇다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뭐야??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독립된 객체들과 그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파악하는 프로그래밍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도 예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한 번쯤은 다들 총 게임을 해보셨을 거라고 생각하고 총게임을 예시로 들어볼게요. ex) 총게임 #총 게임 에는 게임 캐릭터 객체, 총 객체, 총알 객체 등이 있습니다. #여러 개의 독립된 객체 그렇다면 게임 캐릭터 객체 속성 .. 2021. 7. 21.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 자료구조 시리즈003 노드 클래스 만들기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노드가 저장하는 데이터 self.next = None # 다음 노드에 대한 레퍼런스 # 데이터 2,3,5,7,11을 담는 노드를 생성 head_node = Node(2) node_1 = Node(3) node_2 = Node(5) node_3 = Node(7) tail_node = Node(11) 2021. 7. 18. 이전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1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