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시리즈☕

🚀 typeof 연산자 🚀 | JavaScript 시리즈003

by @ENFJ 2021. 7. 29.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typeof

typeof 연산자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typeof 연산자는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도 자료형을 출력할때 많이 사용되는걸로 알고 있다.

 

 

typeof 연산자

 

(1) typeof 2는 숫자 2의 자료형을 문자열로 반환하기 때문에 1번 선택지의 결과는 number입니다.

 

(2) typeof 4 - 2는 연산 우선순위에 따라, typeof 4의 결과인 문자열 'number' 와 숫자 2의 뺄셈이 됩니다. 선택지 2를 다시 정리하면 'number' - 2 가 되는데요, 문자열과 숫자는 뺄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는 NaN이 됩니다.

 

(3) typeof 'number'는 문자열 'number'의 자료형을 반환하기 때문에 결과가 string이 됩니다.

 

(4) typeof (3 * 3)은 연산 우선순위에 따라, typeof 9가 됩니다. 따라서 숫자 9의 자료형인 number가 반환됩니다.

 

 

 

typeof 연산자 응용해보기

 

 

console.log(typeof typeof 8);

 

위 코드의 출력값은 뭐가 나올까?

 

결과 부터 말하면 string 이다.  

 

 

typeof 8 부터 순서대로 풀어보면 number 자료형이 나온다.

console.log(typeof 'number');

그럼 number 이 자료형은 뭐인지 찾아보면 당연 string  즉, 문자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