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신호의 대역폭 정리
3dB 대역폭 : 최고값을 기준으로 3dB 떨어질 때의 주파수로서
전력을 기준으로 하면 최고 전력값의 1/2 이 될때의 주파수 이다.
전압을 기준으로 하면 최고 전압값의 1/루트2 (=0.707) 이 될때의 주파수이다.
영점사이의 대역폭: 전력이나 전압 값이 처음으로 0이 될때의 주파수이다.
-. 선형 과 비선형 시스템
* 선형시스템 : 중첩의 원리 만족
-> 각 입력신호를 상수배하여 더한 새로운 입력신호의 출력신호는 각 출력신호를 상수 배하여 더한 값과 같다.
* 1차 함수일때만 선형이며, 2차 3차 함수일때는 비선형이다.
-. 시불변 시스템 VS 시변 시스템
-> 입력신호의 시간지연이 출력신호에서도 똑같은 시간지연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만약 성립하지 않으면 시변 시스템이다.
-. 선형 시불변 시스템 예 -> 무 왜곡 전송 시스템 ( 실현 불가능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1. 내부 잡음 = ( 존슨 ) 잡음 , (나이키스트) 잡음 = 백색 잡음(white noise)
2. 열 잡음은 내부 잡음 이다.
3. 내부 잡음 특징을 적으시오. ★
★AWGN (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dditive : 잡음은 더하기 연산으로 더해진다.
White : 거의 모든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Gaussian : 정규확률밀도 함수
4. 잡음 지수 : 어떤 시스템에 잡음 특성을 나타내는것.
내부 잡음이 클수록 시스템의 성능이 떨어진다.
내부 잡음을 최소화 하는 시스템이 좋은 시스템이다.
5. 신호 대 잡음비 (SNR) - 신호와 잡음의 전력비
신호/잡음 - 클수록 우수한 시스템이다.★
6. 잡음 지수
입력SNR/ 출력SNR -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 잡음 지수는 1 보다 클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내부잡음이 없을때의 값이 1이 나오기 때문에,, 내부잡음이 있다면 1보다 클수 밖에 없다.
7. 내부 잡음이 없으면 입력 SNR 과 출력 SNR 이 같다.
8. 내부 잡음이 존재하면 출력 SNR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시스템 성능 저하)
9. 출력 잡음 = 증폭된 입력 잡음 + 내부잡음
'Cumputer Science > 디지털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송방식, 다중화, T1 Carrier (0) | 2021.12.06 |
---|---|
5장. 디지털 전송방식 (0) | 2021.12.06 |
4장: 자연부호화 , 허프만 부호화 | 연습문제 풀이 (0) | 2021.12.06 |
4장 : 디지털 펄스 변조 + 원천 부호화 (0) | 2021.12.05 |
4장. 펄스 변조와 원천 부호화🧐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