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mputer Science/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네트워크 : IP패킷 전달과 포워딩

by @ENFJ 2022. 5. 29.

전달(delivery)은 네트워크층의 제어 하에 네트웤가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 직접 전달

- 간접 전달

 

포워딩(forwarding)은 패킷을 다음 지점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포워딩 방법에는

-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반으로 한 포워딩과

- 패킷에 부착된 레이블(label)에 기반으로 한 포워딩 방법이 있다.

 

[연결형과 비연결형 서비스]

네트워크층에서 패킷 전달은 연결형/비연결형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 연결형 서비스

연결형 서비스의 경우에 발신지의 네트워크층 프로토콜은 패킷을 보내기 전에 먼저 목적지의 네트워크층 프로토콜과 연결한다.

-> 연결이 설정되면 발신지에서 목적지로 가는 패킷들은 순서대로 하나씩 보내진다.

패킷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유지되어 모든 패킷은 같은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다.

-> 임의의 패킷은 바로 전에 전달된 패킷과 바로 뒤에 전달되는 패킷과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되어있다.

->하나의 메시지에 속한 모든 패킷이 전달되면 연결이 해제된다.

 

* 비연결형 서비스

비연결형 서비스의 경우에 각 패킷은 상호 독립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패킷들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하나의 메시지에 속한 패킷들이 같은 목적지에 전달되더라도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될수 있다.

IP프로토콜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IP는 여러가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패킷을 전달하기 때문에 비연결형으로 설계되었다.

만약 IP가 연결형이면, 인터넷 모든 네트워크가 연결형이어야 하는데 실제는 그렇지 않다.

 

직접 전달은 마스크를 사용하여 목적지의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한후, 이 주소를 자신이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와 비교하면 된다. 두 주소가 같으면 직접전달이 수행된다.

직접전달의 경우 송신자는 목적지 IP 주소를 사용하여 목적지 물리주소를 찾는다.

 

간접전달은 목적지 호스트가 전달자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지 않으면 패킷은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다음 라우터의 IP주소와 물리 주소 사이의 변환이다.

 

 

패킷 전달과정에 반드시 직접전달 과정이 있으나 간접전달은 없거나 여러개가 있을수도 있다.

그리고 최후의 전달은 반드시 직접전달이다.

 


#포워딩

- 포워딩은 패킷을 다음지점으로 전달하는 것

- 패킷을 목적지로 가는 경로 상에 올려놓는 것

- 다음 홉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

IP프로토콜은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나, 오늘날 연결형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경향이다.

-> IP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사용시: 목적지 주소를 기반으로 포워딩

-> IP연결형 프로토콜로 사용시: 레이블을 기반으로 포워딩

 

# 목적지 주소 기반 포워딩

목적지 주소 기반 포워딩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오늘날 주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호스트나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종 목적지로 가는 경로를 찾는다. 하지만 이 방법은 간단하긴 하지만 라우팅 테이블이 너무 커져서 라우팅 테이블내에서 검색이 비효율적이 되므로 적절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다른 포워딩 기술을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 크기를 아주 작게 만들 수 있고, 보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