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디오

by @ENFJ 2021. 5. 29.

6.1 비디오의 개요

6.1.1 아날로그 비디오와 디지털 비디오

 * 화상과 영상의 차이

- 화상  : 정지된 이미지화면을 의미

- 영상  : 이미지 (영상)화상들의 연속적인 집합체 / 가장 크기가 크고 처리하기 어려운 미디어 / 대부분의 영상처리 기술은 화상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

 

* 화면에 비디오를 자료를 보여주기 위해

 - 텔레비전  : 명도  색상 를 사용

 - 컴퓨터 :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RGB로 표현

 

*프레임

 - 비디오를 구성하고 있는 [이미지 하나하나 ]를 지칭

 - 비디오 크기 = (이미지는 프레임 크기 ) * ( 초당 프레임 수 )

    - 컴퓨터나 TV 비디오초당 30 프레임 , 영화초당 24프레임 이 필요

 

* 디지털 비디오

  - 비디오 보드가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모니터 신호로 변환/출력

  - 잡음이 적고 자료의 편집 및 수정이 용이

  - 자료의 규모가 방대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

 

6.1.3 비디오의 활용  <-- 비디오의 활용으로 옳은것은?

 

1. 웹페이지에서 디지털 비디오 방송(웹 TV)

2. UCC (User Created Content) 또는 UGC : 유튜브 , 판도라TV

3. VOD(Video on Demand) 사이트 : 넷플릭스 , 플루 등

4. 화상회의 ( Video Conferencing)

5. IPTV 활성화

6. DMB

7. 무선 인터넷 기술 발전

 

6.2 비디오 처리 하드웨어

6.2.1 비디오 보드

* 비디오 보드

 -pc에서 비디오 영상을 처리하여 모니터 화면에 출력

 

*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

 - 영상중첩 기술을 이용하여 컴퓨터 내부의 정보외부에서 유입되는 영상정보합성하여 모니터에 표현

 

* 프레임 그래버 보드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 수행 //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신호 

 

* 영상 압축 / 복원 보드

 - 영상 정보를 압축하여 기억 장치에 저장, 필요 시 복원하여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6.2.2 비디오 저장 장치

 

*광 디스크 저장 매체

  - CD < DVD < 고화질 광디스크 < 디스크 어레이 장치 

 

6.3 디지털 영상처리

6.3.1 특수효과 ( 무한도전 해골 바가지 같은거..)

특수효과 -> '기학적 변형 장치' 라고 부르기도 함

 

6.3.2 디지털 영상합성 - 크로마키 합성

6.4 비디오의 압축/복원

6.4.1 기본 개념

 * 비디오 압축 또는 부호화 

    대표적 알고리즘 -> MPEG 표준

    정지 영상의 압축 복원 알고리즘 -> JPEG을 동영상에 적용

    정지 영상의 공간적 상관성은 JPEG기법을 그대로 적용 및 압축

    공간적 압축 뿐만 아니라 시간적 압축기법 적용

 

 * 압축 방법 구분

   - 무손실 압축 기법 : 압축률은 비교적 낮음. 원래 영상으로 완전한 복구가능

   - 손실 압축 기법 : 압출률이 높음. 완전 복구는 불가능

 

6.4.2 비디오의 압축과정

 * 비디오 압축시 고려사항

1. 초당 프레임수

2. 압축률에 따른 화질 변화

3. 압축 및 복원 속도

4. 부가적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소요 여부

5. 통신채널의 전송 속도의 한계

 

* 비디오 압축과정

 

원본영상 -> 전처리 -> 변환 -> 양자화 -> 코드 할당 -> 비트스트림

 

*전처리 

컬러스페이스 변환: RGB -> Y(명도) IQ(색차 정보)

필터링: 영상의 잡음을 제거하여 압축률을 높이는 과정

컬러 서브 샘플링: 사람은 명도차이에 예민함.

 

* 변환

image data 는 상관관계가 매우 높음

 공간적 상관성 : JPEG 압축기술

 시간적 상관성 : MPEG 압축기술

=> 이미지 데이터는 중복성이 매우 높음 -> 중복성 제거~

 

* 양자화 

- 변환 과정을 통하여 얻은 화소 값을 상수 값으로 나누어 유효자리 비트수를 줄이는 과정

- 데이터의 범위를 줄이는 대표적인 방법

- 0~255 (8비트) -> 0~63 (6비트)

- 데이터 변형 발생 -> 손실 발생

- 높은 압축률

 

* 코드할당 및 비트스트림

- 데이터의 출현빈도를 활용하여 전체 파일크기를 줄이는 압축 방법

- 허프만 코드

 

6.4.3 비디오 압축기술

6.4.4 비디오/영상 압축 형식

6.4.5 코덱(CODEC)

6.5 비디오 스트리밍

6.6 디지털 TV 와 IPTV